본문 바로가기

교수 상세보기

최성욱 교수 이미지
최성욱 교수
  • 전공
  • 연락처 043-230-3475
  • 이메일 swchoi@knue.ac.kr

경력

  • 2015.09. ~ 현재 : 한국교육원리학회 , 감사
  • 2014.03. ~ 2016.02. : 한국교원대 교육학과 , 학과장
  • 2013.09. ~ 2015.8. : 한국교육원리학회 , 회장
  • 2013.09. ~ 2015.08. : 한국교육학회 , 이사
  • 2013.01. ~ 현재 : 한국교원교육학회 , 이사
  • 2012.03. ~ 현재 : 한국교육과정학회 , 이사
  • 2012.03. ~ 2014.2. : 한국교원대 대학원 , 교육과정 전공주임
  • 2011.09. ~ 2013.8. : 한국교육원리학회 , 편집위원장
  • 2009.09. ~ 2013.8. : 교육과정수업연구소 , 연구소장
  • 2009.08. ~ 현재 : 한국교원대학교 , 교수
  • 2007.09. ~ 2009.8. : 한국교육원리학회 , 총무이사
  • 2005.09. ~ 현재 : 삶과교육연구소 , 연구위원
  • 2001.03. ~ 2003.2. : UPENN (CIPRI) , 객원교수
  • 1996.09. ~ 2009.7. : 목포대학교 , 교수
  • 1995.04. ~ 1996.8. : 한국교육개발원 , 연구원
  • 1992.03. ~ 1995.4. :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, 특별연구원
  • 1987.03. ~ 1992.2. : 서울대학교 , 조교
  • 1984.09. ~ 1986.2. : 목동중학교 , 교사
  • 1980.10. ~ 1983.1. : 육군 , 사병

학력

  • 1994.. : 서울대학교 , 박사 (대한민국)
  • 1988.. : 서울대학교 , 석사 (대한민국)
  • 1984.. : 서울대학교 , 문학사 (대한민국)

연구

  • 5년연구 C : 교사양성을 위한 교사교육의 정상화
  • 커리큘럼의 학제적 접근 : 학제연구의 내용과 방법, 커리큘럼의 교육화
  • 전통문화와 커리큘럼 : 전통교육소재의 발굴과 커리큘럼 재구성
  • 교사양성체제 재편 : 실천적 인식론에 기초한 경영학적, 의학적 모델 적용
  • 교육의 구조와 가치 : 기능주의적, 제도적 접근과 그 대안 탐색
  • 교육의 시간과 공간 : 교육적 삶의 양상에 부합하는 시공간 개념의 추가
  • 교육연구의 정체성 : 학교연구와 교육연구의 차별화와 공존가능성 모색
  • 연구 집중분야 A : ⟪커리큘럼 현상의 학문적 성찰⟫
  • 연구 집중분야 B : ⟪교육학 패러다임의 새 지평⟫
  • 연구 집중분야 C : ⟪교육비평⟫
  • 5년연구 A :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기본조건 탐구
  • 5년연구 B : 교육비 개념의 해체와 교육학적 재건

논문

  • 2019.06.30 : 추사와 초의의 교류교육 연구 (예정) (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)
  • 2019.06.30 : 교육본위론의 수도계에 관한 오해의 유형 분석 (교육원리연구(예정), 24(1))
  • 2019.02.28 : 고등교육의 제도적 의미와 이론적 의미의 구분과 논거에 관한 교육학적 성찰 (열린교육연구, 27(1))
  • 2019.02.09 : ‘미래교육’에 함축된 ‘교육’ 개념의 해체 (초등교과교육연구, 30)
  • 2018.12.31 : ‘교육평가’ 에 함축된 ‘교육’ 개념의 해체 (교육과정수업연구지, 18(2))
  • 2018.12.31 : ‘영재교육’에 함축되어 있는 ‘교육’ 개념의 해체 (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, 24(2))
  • 2018.12.31 : 인성교육 논의에 함축된 ‘교육’ 개념의 해체 (사회과학연구, 19)
  • 2018.12.30 : ‘혁신교육’에 사용된 ‘교육’ 용어의 해체 (교육과학연구, 23(1))
  • 2018.12.30 : ‘교육기회’ 에 사용된 ‘교육’의 개념에 대한 해체적 분석 (교육과학연구, 23(1))
  • 2018.08.31 :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원양성과정 개선방안 (초등교과교육연구, 29)
  • 2018.06.30 :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구성에 관한 고찰 (교육과정수업연구지, 18(1))
  • 2018.02.09 : 교사교육의 개념에 대한 반성적 소고 (한국교원대, 초등교과교육연구, 28, 69-92)
  • 2017.12. : 배움과 상구의 치환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(교육원리연구, 22(2), 35-63)
  • 2017.12. : 교과교육 평가기준의 이원적 구조: 교과본위와 교육본위 (교육과정수업연구지, 17(2))
  • 2017.12. : 인성교육에 나타난 교육의 개념 해체 (교육과학연구, 22, 1-19)
  • 2017.12. : 교육학 패러다임의 전환과 교육의 재발견 (한국교원대 교육과학연구, 22, 39-64)
  • 2017.08. : 교원양성기관의 입시기구화 원인 분석 (교육과정및수업연구, 17(1), 31-55)
  • 2017.04. : 단위학교 교사학습공동체 내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(교원교육, 33(2), 171-203)
  • 2017.01. : 단군신화의 교육학적 재해석 (교원교육, 33(1), 131-154)
  • 2016.12. : 본위선택에 따른 융합교육의 양태 고찰 (융합교육연구, 2(1), 1-22)
  • 2016.12. : 가야금 산조의 전승과정에 나타난 교육적 관계의 양태 (교육과정및수업연구지, 16(2), 63-87)
  • 2016.12. : 교육연구방법으로서 문화기술지 활용의 조건과 한계 (교육원리연구, 21(2), 35-55)
  • 2016.12. : 조선왕조궁중음식을 소재로 한 도제식 활동의 특징 고찰 (교육과학연구, 21, 169-195)
  • 2015.12. : 교육본위의 수업평가 지표 탐색 (교육원리연구, 20(2), 123-146)
  • 2015.12. : ’교육과정 재구성’ 용어의 혼란과 그 대안 탐색 (교육과정및수업 연구지, 15(2), 45-60)
  • 2015.12. : 수업목표 진술 방식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(초등교과교육연구, 23, 37-51)
  • 2015.12. : 창의성의 집단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 ( 융합교육연구, 1(1), 1-17)
  • 2015.12. : 학교혁신 초기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협의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(교육과학연구, 20,126-153)
  • 2015.02. : 교사양성 및 선발제도의 교직 적합성 고찰 (초등교과교육연구, 21, 121-135)
  • 2014.12. :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쟁점 및 과제 고찰 (교육과정및수업연구지, 14(2), 79-97)
  • 2014.12. : 규제일변도의 학원정책에 대한 일고찰 (교육과학연구, 19(1), 227-239)
  • 2014.12. :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관한 중등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식 및 적용 실태 분석 (교육과학연구, 19(1), 315-338)
  • 2014.07. : 대학 강의평가 구성요소의 타당성 검토 (교육과정및수업연구지, 14(1), 153-168)
  • 2014.06. : ‘교육목표’에 함축된 ‘교육’ 개념의 해체 (교육원리연구, 19(1), 1-29)
  • 2013.12. : Eisner 교육과정 논의에 근거한 중학교 음악과 목표 진술과 평가방식 고찰 (교육과학연구, 18, 79-105)
  • 2013.12. : 스마트교육 패러다임의 타당성 고찰 (교육과정학연구, 13(2), 1-35)
  • 2013.06. : 교육원리탐구, 30년의 성과와 과제 (교육원리연구, 18(1), 63-90)
  • 2013.06. : 학부모의 경비지원에 따른 사립 초등학교와 공립 초등학교의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비교연구 (교육과정학연구, 13(1), 94-114)
  • 2013.06. : 문화유산교육의 의미와 방법 (교육과정학연구, 13(1), 15-36)
  • 2012.12. : 교직과목체제의 재구성: 방향과 과제 (교육원리연구, 17(2), 49-70)
  • 2012.12. : <교육부의 대국민사기극>에 나타난 담론분석과 교육관 비평 (교육과정학연구, 12, 57-67)
  • 2012.12. : “질문공탁” 교수법의 체계적 활용 (교육과학연구, 17, 229-240)
  • 2012.12. : 특수학급 교사의 통합학급 교사와의 협력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(교사교육연구, 51(3), 488-506)
  • 2011.12. : 교사는 교육자인가? (교육과정학연구, 11, 9-26)
  • 2011.12. : 교육적 환생과 교육적 반전의 개념에 비추어 본 르네상스시대의 희랍로마문화 상구열풍 (교육원리연구, 16(2))
  • 2011.06. : 수업능력의 전환적 이해 (교육원리연구,16(1),61-85)
  • 2011.06. : 무형문화재 전승사와 전수과정의 재이해 (교육원리연구,16(1),151-183)
  • 2010.12. : 기능론자의 교육여건 평등론 비판 (교육원리연구,15(2),63-84)
  • 2010.12. : 학력주의의 맹점에 관한 소고 (교육과정학연구, 10, 1-11)
  • 2010.12. : 교육실습의 개념 정립을 위한 탐색적 소고 (교육원리연구,15(2),175-203)
  • 2010.11. :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성격과 실과교육 (한국실과교육연구)
  • 2010.10. : ‘학교교육’의 정상화를 위한 인식의 재구성과 그 적용 (교원교육, 26(5), 127-142)
  • 2009.12. : 학력신화의 허구성과 ‘교육정책’의 모순성 (교육과정학연구, 9, 1-13)
  • 2009.06. : 질문공탁의 교육적 의의 (교육원리연구, 14(1), 101-131)
  • 2009.02. : 정답위주 평가체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(열린교육연구,17(1),129-145)
  • 2008.12. : 대학종합평가에 나타난 교육평가요소의 타당성 검토 (교육원리연구, 13(2), 163-195)
  • 2007.12. : 국가주의 교육관의 교육역행성 비판 (교육원리연구,12(2),43-87)
  • 2007.06. : 교육원리 탐구, 20년-교육의 실체를 밝히는 새로운 작업 (한국교육학회 뉴스레터, 43(2), 9-15)
  • 2006.12. : 교육공간의 의미와 조건 (교육원리연구, 11(2), 1-30)
  • 2006.06. : 교육적 시간의 의미 (교육원리연구, 11(1), 101-128)
  • 2005.10. : 교육학 패러다임의 전환: 기능주의에서 내재주의로 (교육원리연구, 10(2), 71-135)
  • 2004.06. : 교사-학생 관계의 비판적 고찰 (교육원리연구, 9(1), 1-45)
  • 2004.06. : 정보화 시대의 교육적 성찰 (교육과정연구, 22(2), 207-220. )
  • 2003.06. : 교육비 개념의 타당성 검토 (교육원리연구,8(1),125-142.)
  • 2000.10. : 판소리 전승사에 나타난 도제교육의 양상과 원리 (교육원리연구, 5(1), 215-256)
  • 1999.12. : 전통문화에 입각한 교육과정의 재구조화 (건국대학교 출판부, 9-62)
  • 1999.11. : 교육평가의 새 영역 (교육원리연구, 4(1), 141-187)
  • 1998.12. : 서구문명의 한계와 교육학의 새로운 출구 (교육연구, 11, 1-23)
  • 1998.11. : 교육평가의 내재성과 외재성 (교육원리연구, 3(1), 39-76.)
  • 1997.12. : 가르침의 방법적 이해 (목포대학교 논문집, 18(2), 23-47)
  • 1997.11. : 교육발전론 재검토 (교육원리연구,2(1),213-244)
  • 1997.10. : 전통사상에 입각한 통합적 교육발전론 (한국교육, 24(2), 99-145.)
  • 1996.09. : 교과교육학 논의의 반성적 이해와 대안적 접근: 교육본위 교과교육학의 가능성 검토 (교육원리연구, 1(1), 51-84)
  • 1995.12. : 교육과정 개념화의 대안적 접근 (교육학연구, 33(5), 193-216.)
  • 1995.10. : 교육적 가치에 관한 개념적 혼동 (한국교육, 22, 17-34)
  • 1994.08. : 변신이야기에 나타난 교육의 구조 탐색 (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)
  • 1994.04. : 설화에 나타난 가르침과 배움의 구조 (교육학 연구노트 제3호. 서울대학교 교육학과)
  • 1988.02. : 학교와 교육의 관계에 비추어 본 교육사회학의 학문적 성격 고찰 (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)

저서/전시

  • 2018.12. : 교육 용어의 해체 II (예정) (교육과학사)
  • 2018.12. : 교육과학의 이해(공저) (박영사)
  • 2018.12. : 교육 용어의 해체 I (예정) (교육과학사)
  • 2018.08. : 커리큘럼과 수업의 이해(예정) (학지사)
  • 2017.12. : 융합교육의 이해(공저) (이모션북스)
  • 2017.11. : 전수교육학교 선정 및 운영 방안 연구 (문화재청 )
  • 2015.09. : 전수교육대학 선정운영규정 및 매뉴얼 개발 연구 (문화재청)
  • 2013.11. : 스마트교육의 의미와 활용에 관한 교육학적 성찰 (한국교원대학교)
  • 2013.09. : 문화유산 교육 실태 및 국립무형유산원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(문화재청 )
  • 2012.12. : STEAM 교육 실현을 위한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발 연구 (한국과학창의재단)
  • 2010.12. :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과 고등교육기관 연계방안 (문화재청)
  • 2010.12. :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(한국교원대학교)
  • 2010.11. : 교실친화적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실습 강화 방안 연구 (한국교원대학교)
  • 1999.12. : 『교육과 삶의 질』. 건국대학교 한국문제연구원(편). ( 건국대학교 출판부)
  • 1996.05. : 『인간의 성장과 생활에 관한 연구의 동향』 (한국교육개발원 CR 96-7)
  • 1995.12. : 『교과서 국제비교연구』 (한국교육개발원 RR 95-17)
  • 1995.12. : 『고등학교 국어,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상세화 및 평가기준 개발 연구』 (한국교육개발원 RR 95-23)
  • 1995.12. : 『우리 학교 달라져야 합니다』 (교육부 교육개혁추진위원단)
  • 1995.07. : 『영어교과 신설을 위한 국민학교 교육과정 개선 기초연구』 (한국교육개발원 CR 95-4)